컵라면 곰팡이 업체 어디? 오뚜기 진라면 곰팡이 발견 컵라면,오뚜기 진라면 컵라면 유해물질 페니실린 페니실리움 (푸른 곰팡이 라면 곰팡이 컵라면 업체)
2016년 4월 7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유명 국내 라면 업체(회사/기업)의 컵라면에서 곰팡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소비자는 2월 중순 경,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사게 되었는데, 이 안에 시커먼 그을음과 곰팡이을 발견하였습니다.
소비자 말에 따르면, 제품을 구입할 당시 비닐이 정상적으로 씌워져 있는 등 포장엔 전혀 문제가 없었다고 합니다.
문제가된 곰팡이 컵라면은 2016년 1월 22일 오후 4히 26분에 제조된 제품으로, 약 20일만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된 것입니다.
식약처에서 해당 제품을 수거하였고, 한국식품정보원 & 일본 위생미생물연구센터에서 공동으로 확인한 결과, 검은 이물질은 푸른 곰팡이 - 페니실리움이라고 합니다.
페니실리움은 항생 물질 - 페니실린을 만들기도 하지만, 식품 오염 원인이 되는 유해성 독소를 내뿜기 때문에, 간암 유발, 콩팥 기능 저하 등의 악영향도 미칠 수 있습니다.
논란 이후 해당 업체에서는 해명을 하고 나섰습니다.
"라면을 만들 때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공장 안의 습도가 낮기 때문에 곰팡이가 필 수 없다"
"유통 과정에서 용기가 파손된 틈으로 균이 들어갔을 거다"
하지만, 연구소 측에서는 이러한 업체의 말과 다른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발견된 곰팡이가 건조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다"
"유통뿐 아니라 생산 단계에서도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업체의 반응에 대해 사람들은 비난의 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진상조사 철저히 해야 한다"
"제조사들은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항상 책임을 떠넘긴다"
"곰팡이가 혐오스럽게 피었다"
"식품 사고가 나면 유통사 문제라고 하던지 제보자를 블랙컨슈머로 몰아세운다"
이번에 뉴스를 통해 공개된 영상 속 뚜껑의 디자인, 스프(분말 수프)의 디자인 등을 본 사람들은 오뚜기 진라면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논란에 대해 오뚜기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에 대한 경각심을 알리기 위해 하나의 예를 들어 촬영했을 거다"
"물론 곰팡이는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주의하고 있지만 이번 건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파악된 점은 없다"